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운동선수에게 흔한 회전근개 질환, 어떻게 관리할까?

by myselim 2025. 7. 13.
반응형

야구, 수영, 테니스, 배드민턴, 역도 등 다양한 종목의 운동선수들은 어깨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만큼 회전근개 질환에 취약합니다. 반복된 어깨 회전과 충격은 회전근개 근육에 염증을 유발하거나, 부분 혹은 완전 파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운동선수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회전근개 질환의 원인과 증상, 재활 및 관리 방법, 선수로서의 경기력 유지를 위한 예방 전략까지 전문적으로 안내해드립니다.

회전근개 질환이 운동선수에게 흔한 이유

운동선수들이 회전근개 질환에 자주 노출되는 이유는 반복되는 고강도 어깨 동작 때문입니다. 특히 투구, 스파이크, 서브, 역기 들기 같은 운동은 어깨 관절을 극단적인 위치까지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회전근개 근육(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에 지속적인 손상이 누적됩니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감싸고 회전과 안정성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근육군으로, 손상 시 단순한 통증을 넘어 운동 능력 저하, 기술 수행 불가능, 심하면 선수 생명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과사용(Overuse): 하루 수십 번 이상 같은 동작 반복
  • 근력 불균형: 어깨 전면 근육만 단련하고 후면이 약할 때
  • 충돌증후군: 어깨 구조상 회전근개가 끼이는 경우 자극 반복
  • 회복 부족: 근육 손상 후 충분한 휴식 없이 운동 재개
  • 기술 미숙: 잘못된 폼, 무리한 가동 범위, 폼 오류 등이 누적

회전근개 손상 시 관리 및 재활 방법

회전근개 질환은 손상의 정도에 따라 관리 및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운동선수의 경우 비수술적 재활을 우선시하지만, 중등도 이상의 파열 시 수술적 접근도 고려해야 합니다.

1. 초기 통증 관리

  • 냉찜질: 운동 직후 10~15분간 적용
  • NSAIDs: 소염진통제 복용
  • 휴식: 통증 유발 동작은 즉시 중단

2.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

TENS, 초음파, 온열 치료와 도수치료 병행으로 회복 유도

3. 재활 운동

  • 등척성 운동 → 고무밴드 저항운동 → 견갑골 안정화 운동
  • 점진적 ROM 증가와 균형 잡힌 어깨 강화

4.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 실패 시 관절경 수술 후 6개월 이상 재활 필요

운동선수의 회전근개 예방 전략

  1. 정확한 운동 자세 습득 – 기술 지도자와 폼 점검
  2. 어깨 균형 강화 운동 – 전면과 후면 근육 균형 잡기
  3. 운동 전 워밍업 / 후 쿨다운 필수
  4. 충분한 회복 시간 확보 – 주 1~2일은 저강도 운동일
  5. 정기적인 체크업 – 초음파, 도수 검사로 조기 진단

회전근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일상 루틴은 경기력 향상뿐 아니라 선수 생명을 보호하는 필수 관리법입니다.

운동선수에게 회전근개 질환은 흔하지만, 경기력에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입니다. 반복된 어깨 사용이 필수인 만큼 정기적인 관리, 예방적 운동, 조기 진단이 필수입니다. 어깨 통증이 계속되거나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방치하지 말고 스포츠 전문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맞춤 치료를 받아보세요. 지금의 관리가 선수로서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