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허리나 다리 통증을 겪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들이 흔히 듣는 진단이 바로 '디스크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입니다. 두 질환 모두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발생 원인과 진행 경과, 치료법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질환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정의, 주요 증상, 진단 방법, 치료 방향까지 비교 분석해 드립니다.
1. 디스크 탈출증 – 젊은 층에 많은 수핵 돌출 질환
디스크 탈출증(Herniated Disc)은 흔히 말하는 허리디스크로,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추간판(디스크)의 수핵이 밀려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입니다. 주로 잘못된 자세, 무리한 동작, 운동 중 손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20~40대 활동적인 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주요 특징
- 급성 통증: 허리뿐 아니라 다리까지 뻗치는 좌골신경통
- 한쪽만 아픈 경우 많음
- 기침·재채기 시 통증 증가
- 앉아 있을 때 통증 증가
진단 방법
- MRI를 통해 디스크 탈출 방향과 신경 압박 유무 확인
- 하지직거상검사(SLR) 등으로 좌골신경 자극 여부 확인
치료법
- 보존적 치료: 약물, 물리치료, 도수치료, 신경차단술 등
- 수술적 치료: 미세현미경 디스크제거술 등 선택적 시행
2. 척추관 협착증 – 중장년층 이상에 흔한 퇴행성 질환
척추협착증(Spinal Stenosis)은 척추관이 좁아지며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으로, 주로 50대 이상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디스크, 인대, 관절 등이 두꺼워지면서 척추 내 공간이 좁아지고 신경이 눌리면서 통증이 생깁니다.
주요 특징
- 보행 장애: 일정 거리 걸으면 다리가 저리고 멈춰야 함
- 양측성 통증: 양쪽 다리 모두 저리거나 무거움
- 서 있을 때 악화, 앉거나 앞으로 숙일 때 완화
- 만성적 진행: 서서히 심해지는 만성 증상
진단 방법
- MRI 또는 CT로 척추관 협착 정도 확인
- 하지 감각 및 운동 기능 저하 여부 확인
치료법
- 비수술적 치료: 약물, 주사, 보행훈련, 도수치료
- 수술적 치료: 신경 감압술, 척추유합술 등 필요 시 시행
3. 디스크 vs 협착증 – 한눈에 비교표
항목 | 디스크 탈출증 | 척추협착증 |
---|---|---|
주 연령대 | 20~40대 | 50대 이상 |
발생 원인 | 외상, 무리한 동작, 자세 | 퇴행성 변화, 노화 |
증상 양상 | 급성 통증, 한쪽 다리 저림 | 점진적 통증, 양측 다리 저림 |
악화 자세 | 앉거나 기침할 때 악화 | 서 있을 때 악화, 숙일 때 완화 |
통증 부위 | 좌우 중 한쪽 | 양쪽 다리, 엉덩이 |
치료 방향 | 보존→수술 선택 | 장기적 재활 치료 중심 |
예후 | 조기 치료 시 빠른 회복 | 만성 관리 필요, 수술률 높음 |
결론: 증상의 패턴과 나이대가 판단 기준
디스크 탈출증과 척추협착증은 모두 척추와 신경의 문제로 통증을 유발하지만, 발생하는 연령대, 증상 패턴, 통증의 위치와 양상, 치료법이 다릅니다.
- 젊고 갑작스러운 통증이 온다면 디스크일 가능성
- 나이 들며 걷기가 점점 힘들어지면 협착증일 가능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MRI 검사와 전문의의 판단이 필수이며, 치료 시기와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스스로 증상을 구별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